목록전체 글 (28)
옥수수, 기록

자료구조 자료구조란? 여러 데이터의 묶음을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정의한 것 데이터: 문자, 숫자, 소리, 그림, 영상 등 실생활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값 데이터 그 자체만으로는 어떤 정보를 가지기 어렵고 분석하고 정리하여 활용해야만 의미를 가질 수 있음(ex 전화번호라는 데이터만 가지고 있을경우 누구의 전화번호인지 알 수 없음) 데이터를 정해진 규칙 없이 저장하거나 하나의 구조로만 정리하고 활용하는 것보다 →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두는 것이 데이터활용에 유리 자료구조의 분류 자료 구조의 분류 자료구조의 특징 대부분의 자료구조는 특정한 상황에 놓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특화되어 있음 많은 자료구조를 알아두면 어떠한 상황이 닥쳤을 때 적합한 자료구조를 빠르고 정확하게 적용하여 문제 해결 가능 Sta..

해싱(Hashing) 가장 많이 쓰이는 암호화 방식중 하나 복호화가 가능한 다른 암호화 방식들과 달리 해싱은 암호화만 가능 해싱의 특징 항상 같은 길이의 문자열 리턴 서로 다른 문자열에 동일한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반드시 다른 결과값이 나옴 동일한 문자열에 동일한 해시 함수를 사용하면 항상 같은 결과값이 나옴 해시 함수중 하나인 SHA1에 특정 입력 값을 넣었을 때 어떤 결과가 리턴되는지에 대한 예 비밀번호 해시 함수(SHA1) 리턴 값 비밀번호 해시 함수(SHA1) 리턴값 ‘password’ ‘5BAA61E4C9B93F3F0682250B6CF8331B7EE68FD8’ ‘Password’ ‘8BE3C943B1609FFFBFC51AAD666D0A04ADF83C9D’ ‘kimcoding’ ‘61D17C831..

Cookie의 배경 HTTP 요청은 stateless하지않나? 쇼핑몰사이트를 돌아다니며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고 페이지를 돌아다녀도 장바구니가 유지되는 것은 쿠키 덕분이다. Cookie란 어떤 웹사이트에 들어갔을 때 서버가 일방적으로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작은 데이터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수단 해당 도메인에 대해 쿠키가 존재하면 웹 브라우저는 도메인에게 http 요청 시 쿠키를 함께 전달 Cookie 이용법 사용자 선호, 테마 등 장시간 보존해야하는 정보 저장에 적합 Cookie 전달 방법 쿠키가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고 자동으로 요청되는 화면 서버가 응답헤더에 Set-Cookie라는 프로퍼티(속성)에 쿠키의 이름, 값, 경로등을 저장 쿠키가 담긴 응답헤더를 받은 클라이언트는 ..

HTTPS HTTP Secure의 약자로 기존의 HTTP 프로토콜을 더 안전하게(Secure)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HTTPS는 HTTP요청과 응답으로 오가는 내용을 암호화한다. 암호화 방식 데이터를 암호화 할 때 암호화할 때 사용할 키와 암호화한 것을 해석할 때 사용할 키가 필요하다. 암호화와 복호화할 때 사용하는 키가 동일하다면 대칭 키 암호화 방식, 다르다면 공개 키(비대면 키) 암호화 방식이라 한다. 대칭 키 암호화 방식 하나의 키만 사용하는 방식으로 암호화할 때 사용한 키로만 복호화가 가능 장점: 공개 키 방식에 비해 연산 속도가 빠름 단점: 키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탈취 당했을 경우 암호화가 소용없어짐 공개 키(비대칭 키) 암호화 방식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암호화할 때 사용한..

HTTP의 역사 HTTP/1.1, HTTP/2는 TCP 기반이며 HTTP/3는 UDP 기반 프로토콜 HTTP의 특징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Request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서버가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 응답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하지 않음 장점: 서버 확장성 높음(스케일 아웃) 단점: 클라이언트가 추가 데이터 전송 비연결성(Connectionless) TCP/IP는 기본적으로 연결을 유지, 서버의 자원을 계속 소모 HTTP는 실제로 요청을 주고 받을 때만 연결을 유지, 최소한의 자원으로 서버 유지 일반적으로 초 단위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 비연결성의 한계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 함 - 3way ha..

OSI 7계층 모델 탄생배경 같은 회사에서 만든 컴퓨터끼리만 통신이 가능했던 시절에 회사의 시스템, 네트워크 유형에 관계 없이 상호 통신이 가능한 규약, 프로토콜이 필요했다. ISO라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1984년 네트워크 표준 규격을 제정했다. 1계층 - 물리 계층 OSI 모델의 맨 밑에 있는 계층으로 시스템 간의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 신호를 변환 및 제어하는 계층 주로 물리적 연결과 관련된 정보를 정의하며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데 초점을 두고 들어온 전기 신호를 그대로 잘 전달하는 것이 목적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로 신호 변경 2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네트워크 기기 간의 데이터 전송 및 물리주소(e.g. MAC 주소)를 결정하는 계층 물리 계층에서 들어온 전기 신호를 모아 알아 볼 수 있는 데이터 형태..

네트워크의 시작 회선교환 방식 위 사진처럼 회선교환 중간에서 발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해주는 오퍼레이터가 존재하며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전용선을 미리 할당하고 둘을 연결한다. 내가 연결하고 싶은 상대가 다른 상대와 연결중이라면 상대방은 이미 다른 상대와의 전용선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그 연결이 끊어지고 나서야 상대방과 연결할 수 있다. 패킷교환 방식 패킷이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잘게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이다.(마치 소포를 보내듯) 각 패킷에는 출발지와 목적지 정보(IP주소)가 있고 이에 따라 패킷이 목적지를 향해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특정 회선이 전용선으로 할당되지 않기 때문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IP와 IP Packet 복잡한 인..

웹 접근성의 개념 일반적으로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비장애인도 화면을 볼 수 없거나, 소리를 들을 수 없거나, 마우스사용이 불가능해 키보드밖에 사용할 수 없는 등 정보 접근에 제한을 받는 불편함을 겪을 수도 있다. 웹 접근성을 갖추면 웹에 접근했을 때 어떤 상황에서도 항상 동등한 수준의 정보를 제공받도록 보장받을 수 있다. 궁극적인 목적은 어떤 상황, 어떤 사람, 정보이던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국내 웹 접근성의 실태 해외 사이트 아마존, 아이허브 등 들어가 보면 이미지에 이미지를 설명하는 텍스트가 함께 작성되어 있고 상품의 기본 정보가 모두 텍스트로 작성되어 있다. 시력이 좋지..